본문 바로가기
디자인

디자인사 part.3

by 소담스러운 2024. 7. 11.
반응형

 

(5) 독일공작연맹(DWB : Deutscher Werkbund)

① 독일공작연맹은 1907년 유겐트스틸의 몰락과 기술 주도적인 디자인에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헤르만 무테지우스를 중심으로 하여 결성되었습니다. 헤르만 무테지우스는 주영 독일 대사관 직원으로 주택 건축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는데, 독일의 건축이나 공예가 시대에 뒤떨어짐을 인식하고 영국의 청초하고 명쾌한 조형을 나타내는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사고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② 1907년 독일로 돌아온 무테지우스는 프러시아의 미술학교 연맹의 감사관으로 재직하면서 새 시대의 조형 창조는 실제 기능 위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찬반양론이 분분했으나 결국 제조업자, 예술가, 건축가, 저술가 등과 함께 독일공작연맹을 창시하였습니다. 장식을 부정하고, 기능주의 입장에서 간결하고 객관적인 합리성을 의미하는 즉물성(실제의 사물에 비추어 생각하고 행동)을 근대성의 지표로 제창하고 기술 주도적인 디자인 방향을 주장하였습니다.

③ 헤르만 무테지우스는 "기계생산의 과정에서 예술가가 참가해야 할 가장 중요한 분야는 디자인"이라고 말했는데, 이는 윌리엄 모리스의 기계에 의한 생산을 부정하는 미술공예운동에서 벗어나 기계생산, 대량생산, 질보다 양 등을 주장하고 단순한 형태의 생산을 추구한 것입니다.

④ 1914년 쾰른에서 독일공작연맹전이 개최되었는데 이 행사에서 헤르만 무테지우스는 규격화를 주장했습니다. 규격화에 의하여 상품의 양질화가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소파의 쿠션에서 도시계획까지"라는 슬로건 아래 공업생산에서 디자인까지 통일하고자 했습니다.

⑤ 헤르만 무테지우스의 이러한 주장에 반대한 사람은 헨리 반 데 벨데였으며, 그는 창작예술에서 볼 때 규격화는 무차별한 획일화일 뿐 무엇보다 개성적인 창조성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제 1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전쟁 전에는 헨리 반 데 벨데의 주장이 호응을 얻었으나, 제1차 세계대전 후 규격화와 표준화에 관한 헤르만 무테지우스의 주장이 인정받게 되었으며, 독일공작연맹은 전후 바우하우스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6) 큐비즘(Cubism)

① 큐비즘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세잔, 브라크, 피카소 등이 있습니다. 초기 큐비즘은 후기 인상주의 대표 작가인 프랑스의 세잔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는 모든 사물을 원뿔, 입방체, 원통, 구에 집중할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입체파 작가들은 마침내 자연 대상을 기하학적 형태로 환원시켜, 그것을 면과 입체로 재구성하였습니다.

② 세잔의 자연 해석과 아프리카의 원시 조각 미술에 대한 입체파의 관심 역시 피카소(Picasso) 등에 의한 추상의 호소력에 기인한 것이었습니다. 1909~1912년 사이에 이것은 분석적 큐비즘을 낳았고, 여기에서 작가들은 인습적 주제를 제거하고 추상적인 기하학적 구성을 받아들였습니다. 이러한 큐비즘의 역할은 데스틸과 구성주의의 기능주의적 활자 디자인과 포스터 디자인에 일차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③ 1906년경, 피카소는 청색시대의 양식에서 이탈해 세잔에 가까운 작품을 그리기 시작하였고, 그 후 1년도 안 되어 세잔을 앞지를 만한 입체주의라고 부르는 양식에 도달해 세상 사람들을 놀라게 합니다. 아비뇽의 여인들은 작품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운 시네마 식 원근법을 사용한 도전적인 작품이어서 마티스조차 커다란 충격을 받았습니다.

④ 큐비즘은 난색의 따뜻하고 강렬한 색채와 대비를 주로 사용하였습니다.

 

(7) 구성주의(Constructivism)

① 1920~1930년대 사회주의운동이 확산하고 귀족적이거나 부르주아적인 예술이 아닌 좀 더 진보적인 예술 개념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러시아 전위미술 운동을 이끌던 말레비치에 의해 러시아에서 일어난 '추상주의 예술운동'으로 구성파라고도 합니다. 대표적인 중심인물은 카지미르 말레비치, 알렉산더 로드첸코, 엘 리시츠키 등입니다.

② 산업화가 가장 늦은 구소련은 생산력 증대를 위해 국가적 노력을 전부 동원하였고 예술가들 역시 이러한 목표에 따라 생산을 위한 디자인에 전념하였습니다. 이들은 예술 활동을 산업 생산활동 및 노동과 동일시했습니다.

③ 구성파의 디자인 활동은 현대의 디자인 행위 이상으로 실제 생산을 고려해 진행되었습니다. 그로 인해 구성파는 개인주의적이고 실용성이 없었던 기존의 예술을 부정하고, 산업주의와 집단주의에 입각한 사회성을 추구하였습니다.

④ 기계적·기하학적인 형태를 중시, 역학적인 미를 강조하였으며 포스트모더니즘의 근원이 되었습니다. 금속이나 유리, 그 밖의 근대 공업적 새로운 재료를 과감히 받아들여 자유롭게 쓰지만 자기 표출로서의 예술보다 공간구성 또는 환경 형성을 지향했습니다.

⑤ 네덜란드의 '데스틸'이나 '바우하우스'에 끼친 영향도 컸고, 파리에서 설립된 '추상, 창조'의 그룹도 구성주의의 계보에 속합니다. 공간구성, 환경 형성이라고 하는 구성주의의 본래 정신은 근대 건축이나 디자인 성립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습니다.

⑥ 1931년 스탈린 정권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구소련의 유일한 예술 형식으로 규정하고 구성주의와 절대주의로 대표되던 구소련 내의 전위적 조형운동은 공산주의 체제에 부적합하다고 여겨 종식했습니다.

⑦ 구성주의와 개인주의적이고 실용성이 없었던 기존의 예술을 부정하고, 산업주의와 집단주의에 입각한 사회성을 추구하는 절대주의의 생산 주의적 관점과 여기서 비롯된 명쾌한 양식은 바우하우스나 현대 포스터, 타이포그래피에서부터 오늘날의 해체주의에 이르기까지 이후 디자인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⑧ 기계적·기하학적 형태를 중시하고 역학적인 미를 강조하여 기하학적인 요소와 순수 스펙트럼상의 색을 주로 사용하였습니다.

 

 

 

(출처 2022 컬러리스트필기 기사·산업기사 이론서, 조영우 지음)

반응형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자인사 part.5  (0) 2024.07.13
디자인사 part.4  (2) 2024.07.12
디자인사 part.2  (1) 2024.07.11
디자인사  (0) 2024.07.10
디자인의 정의  (1) 2024.07.10